하천·호소 등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운영하는 물환경측정망의 설치,
운영, 관리에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정함
법적근거
「환경정책기본법」제22조(환경상태의 조사・평가 등)「물환경보전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9조(수질의 상시측정 등) 및 제9조의2(측정망 설치계획의 결정․고시 등),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 제22조 (국립환경과학원장이 설치・운영하는 측정망의 종류 등), 제23조(시・도지사가 설치・
운영하는 측정망의 종류 등), 제24조(측정망 설치계획의 내용․고시 등)법
제16조의2(방사성물질 등의 유입 여부 조사) 및 시행규칙 제26조의4(방사능 조사 방법 등)
물환경측정망의 종류 및 운영 목적
수질측정망
하천·호소 등 공공수역에 대한 수질현황 및 추세파악
주요 환경정책의 효과분석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총량측정망
오염총량관리 시행지역의 수질현황 및 수질오염총량제 이행사항 평가
단위유역의 수질, 유량 등 수질오염물질의 총량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
자동측정망
수질오염사고 시 신속한 대응조치를 위한 수질감시경보 체계 운영
수질예보제 운영 지원 등 일반측정망의 보완적 기능
퇴적물측정망
수저 퇴적물의 환경질(Sediment Quality) 현황 조사 및 평가
퇴적물이 수질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방사성물질측정망
공공수역 방사성물질 현황 조사
방사성물질, 방사성폐기물의 하천, 호소 등의 공공수역 유입 여부 조사
생물측정망
하천, 하구, 호소 등에 대한 수생태계 현황 및 추세파악
주요 환경정책의 효과분석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비점오염물질측정망
강우에 의해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실측자료 확보 및 추세 파악
비점오염물질 정량화, 유출특성 파악을 통해 정책수립 기초자료 확보 및 비점오염저감대책에 대한 효과 평가
수행
운영 체계
※ 한국환경공단은 「한국환경공단법」제 17조 제1항에 따른 환경측정망
설치·운영 기관으로서 수질자동측정망에 대한 설치·관리 업무를 대행※
한국농어촌공사는「농어촌정비법」제21조 제4항에 따라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운영
수질측정망, 자동측정망 세부구성현황
구분
수질측정망
총량측정망 (일반병행)
자동 측정망
퇴적물측정망
소계
하천
호소
농업 용수
도시 관류
산단 하천
소계
하천
호소
계
1,936
683
191
955
37
70
337 (106)
70
306
173
133
유역 (지방) 환경청
소계
372
221
81
-
-
70
64
70
-
-
-
한강
53
28
7
-
-
18
64
14
-
-
-
낙동강
33
16
2
-
-
15
-
7
-
-
-
금강
56
28
20
-
-
8
-
12
-
-
-
영산강
59
32
19
-
-
8
-
9
-
-
-
원주
86
57
24
-
-
5
-
9
-
-
-
대구
49
38
2
-
-
9
-
17
-
-
-
새만금
36
22
7
-
-
7
-
2
-
-
-
물환경 연구소
소계
167
160
7
-
-
-
273 (106)
-
306
173
133
한강
67
62
5
-
-
-
62 (48)
-
78
38
40
낙동강
51
51
0
-
-
-
93 (27)
-
94
62
32
금강
26
26
1
-
-
-
61 (18)
-
65
33
32
영산강
22
21
1
-
-
-
57 (13)
-
69
40
29
시·도
소계
331
271
23
-
37
-
-
-
-
-
-
서울
23
23
-
-
-
-
-
-
-
-
-
부산
22
5
-
-
17
-
-
-
-
-
-
대구
7
3
2
-
2
-
-
-
-
-
-
대전
17
14
-
-
3
-
-
-
-
-
-
인천
4
2
-
-
2
-
-
-
-
-
-
광주
4
2
2
-
-
-
-
-
-
-
-
울산
20
16
-
-
4
-
-
-
-
-
-
경기
68
50
18
-
-
-
-
-
-
-
-
강원
18
18
-
-
-
-
-
-
-
-
-
충북
34
34
-
-
-
-
-
-
-
-
-
충남
31
31
-
-
-
-
-
-
-
-
-
전북
20
15
-
-
5
-
-
-
-
-
-
전남
13
13
-
-
-
-
-
-
-
-
-
경북
10
10
-
-
-
-
-
-
-
-
-
경남
40
35
1
-
4
-
-
-
-
-
-
한국수자원공사
111
31
80
-
-
-
-
-
-
-
-
한국농어촌공사
955
-
-
955
-
-
-
-
-
-
-
방사성물질측정망, 생물측정망 세부구성현황
구분
방사성물질측정망
생물측정망
비점오염물질 측정망
수질예보지원
소계
하천
호소
소계
하천
하구
호소
소계
중권역규모
소권역규모
계
90
77
13
3,884
3,039
668
177
2
-
2
176
유역 (지방) 환경청
소계
-
-
-
90
-
-
90
-
-
-
54
한강
-
-
-
11
-
-
10
-
-
-
5
낙동강
-
-
-
17
-
-
17
-
-
-
10
금강
-
-
-
13
-
-
14
-
-
-
9
영산강
-
-
-
14
-
-
14
-
-
-
8
원주
-
-
-
18
-
-
18
-
-
-
4
대구
-
-
-
13
-
-
13
-
-
-
18
새만금
-
-
-
4
-
-
4
-
-
-
-
물환경 연구소
소계
90
77
13
3,707
3,039
668
-
2
-
2
122
한강
30
27
3
1,035
907
128
-
-
-
-
29
낙동강
23
19
4
1,189
898
291
-
-
-
-
52
금강
18
15
3
671
617
54
-
2
-
2
21
영산강
19
16
3
812
617
195
-
-
-
-
20
시·도
소계
-
-
-
87
-
-
87
-
-
-
-
서울
-
-
-
-
-
-
-
-
-
-
-
부산
-
-
-
-
-
-
-
-
-
-
-
대구
-
-
-
2
-
-
2
-
-
-
-
대전
-
-
-
1
-
-
1
-
-
-
-
인천
-
-
-
4
-
-
4
-
-
-
-
광주
-
-
-
-
-
-
-
-
-
-
-
울산
-
-
-
-
-
-
-
-
-
-
-
경기
-
-
-
6
-
-
6
-
-
-
-
강원
-
-
-
4
-
-
4
-
-
-
-
충북
-
-
-
5
-
-
5
-
-
-
-
충남
-
-
-
25
-
-
25
-
-
-
-
전북
-
-
-
15
-
-
15
-
-
-
-
전남
-
-
-
15
-
-
15
-
-
-
-
경북
-
-
-
8
-
-
8
-
-
-
-
경남
-
-
-
2
-
-
2
-
-
-
-
한국수자원공사
-
-
-
-
-
-
-
-
-
-
-
한국농어촌공사
-
-
-
-
-
-
-
-
-
-
-
(2018년도 물환경측정망 운영계획)
※ 방사성물질 측정망에 대하여, 한강물환경연구소와
낙동강물환경연구소의 조사지점은 인력, 장비 등 측정·조사 여건이 확보될 때까지 각각 국립환경과학원과 금강물환경연구소에서
대행
※ 생물측정망은 하천·하구의 물환경연구소 조사지점은 인력, 장비 등
측정·조사여건이 확보될 때까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