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바로가기
하단 주소영역 바로가기
운영현황
운영현황
물환경측정망
운영목적 및 구성
세부구성현황
연혁
수질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총량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자동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실시간 수질정보
대국민 공개과정
자료선별과정
실시간 수질지수
퇴적물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방사성물질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생물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비점오염물질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관리 및 제도
관리 및 제도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생활환경기준
중권역별 목표기준 및 달성시간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목표기준 평가
수질오염총량 관리제도
소개
추진현황
발전방안
녹조(조류) 정보
녹조현상
FAQ
자료실
비점오염원
비점오염원 소개
관리방안
설치신고 제도
비점오염뉴스
자료조회
자료조회
수질측정망
자료조회
총량측정망
자료조회
자동측정망
미확정 자료 조회
확정 자료 조회
퇴적물측정망
자료조회
방사성물질측정망
자료조회
생물측정망
자료조회
비점오염물질측정망
수리.수문.기상
녹조(조류)정보
발생현황지도
최근측정자료
과거수질자료
조류예측정보
보 모니터링 정보
보모니터링 종합정보
공개자료목록
보 운영 현황
환경기초조사사업
지리정보 자료조회
지리정보 자료조회
지도기반 간편조회
수질측정망
생물측정망
자동측정망
지도기반 상세조회
서비스 이용안내
서비스 바로가기
물환경 대시보드
드론 촬영 영상
수질오염총량관리지도
소식/자료
소식/자료
공지사항
뉴스
자료실
자주하는 질문
녹조(조류)제보
용어사전
활용툴(Tool) 공개
수치모델
KRF(Korean Reach File)
소하천 KRF(Korean Reach File)
자료조회
수질측정망
자료조회
총량측정망
자료조회
자동측정망
미확정 자료 조회
확정 자료 조회
퇴적물측정망
자료조회
방사성물질측정망
자료조회
생물측정망
자료조회
비점오염물질측정망
수리.수문.기상
녹조(조류)정보
발생현황지도
최근측정자료
과거수질자료
조류예측정보
보 모니터링 정보
보모니터링 종합정보
공개자료목록
보 운영 현황
환경기초조사사업
과거수질자료
확대
홈
자료조회
녹조(조류)정보
과거수질자료
조류(경보•관찰)
지점에서 측정된 자료를 조회하고 CSV파일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일 자료 2년까지 조회 및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자료설명
자료설명
1998년부터 녹조 발생 시 안전한 먹는물 공급을 위하여 환경부, 시․도지사가 관리하는 하천·호소 중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주요 하천·호소에 대하여 조류경보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는 친수활동 보호를 위한 구간까지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법적근거
- 물환경보전법 제21조 (수질오염 경보제)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호소의 물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해당 하천·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 물환경보전법 시행령 제28조 (수질오염경보)
수질오염경보에는 ‘조류경보’와 ‘수질오염감시경보’가 있다.
- 조류경보 발령대상 및 발령주체 (시행령 별표2)
조류경보 발령대상 및 발령주체 - 구분, 대상 수질오염물질, 발령대상, 발령주체 순으로 구성된 표 입니다.
구분
대상수질오염물질
발령대상
발령주체
상수원 구간
남조류 세포수
법 제9 조에 따라 환경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가 조사ㆍ측정하는 하천ㆍ호소 중
상수원의 수질보호를 위하여 환경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하천ㆍ호소
환경부장관 또는
도지사
친수 활동 구간
남조류 세포수
법 제9 조에 따라 환경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가 조사ㆍ측 정하는 하천ㆍ호소 중 수영,
수상스키, 낚시 등 친수활동의보호를 위하여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하천ㆍ호소
조류경보제 운영지점 및 채수위치
조류경보제 운영지점 및 채수위치 - 순번, 시행년도, 하천 호소명, 대표 조사 지점, 관리기관 순으로 구성된 표 입니다.
순번
시행년도
하천·호소명(지점수)
대표 조사 지점
관리기관
1
’98
팔당호(3)
댐앞, 부용사앞, 삼봉
한 강 청
2
대청호(3)
추동, 문의, 회남
금 강 청
3
충주호(2)
댐앞, 청풍교
원 주 청
4
주암호(2)
댐앞, 신평교
영산강청
5
’99
운문호(2)
댐앞, 취수탑2
대 구 청
6
’03
용담호(2)
댐앞, 취수탑
전북청
7
’04
동복호(2)
취수탑, 중류
영산강청
8
영천호(1)
취수탑
대 구 청
9
’05
진양호(2)
판문, 내동
낙동강청
10
안계호(1)
취수탑
대 구 청
11
’06
공산지(2)
중앙부, 취수탑
대구광역시
12
광교지(1)
취수탑
경기도청
13
춘천호(2)
춘천댐 상류, 용산취수장
강원도청
14
옥정호(1)
칠보취수구
전북청
15
진전지(2)
상류, 하류
경상북도청
16
한강(4)(강동대교〜잠실대교)
미사대교, 강동대교, 광진교, 잠실철교
서울시청
17
한강(5)
*
(잠실대교〜행주대교)
성수대교, 한남대교, 한강대교, 마포대교, 성산대교
18
’07
사연호(2)
취수탑, 반연리
낙동강청
19
’08
회야호(2)
취수탑, 여수로
낙동강청
20
덕동호(1)
댐앞
대 구 청
21
탐진호(2)
댐앞, 유치천 합류
영산강청
22
’09
보령호(1)
취수탑
금 강 청
23
횡성호(1)
취수탑
원 주 청
24
’16
낙동강(3)(시범 ’13∼’15)
해평
대 구 청
25
강정·고령
대 구 청
26
칠서
낙동강청
27
한강(1)
이천
한 강 청
28
의암호(1)
신연교
원 주 청
29
’20
낙동강(시범 ’20.4∼’21.4)
물금·매리
낙동강청
출처 : 조류경보제운영 매뉴얼(2017)
*
2016년부터 친수활동 구간으로 운영
조류경보제 운영지점 및 채수위치
조류경보제 운영지점 및 채수위치 - 순서, 시행년도, 수계명(지점수), 대표 조사 지점, 관리기관 순으로 구성된 표 입니다.
순번
시행년도
수계명(지점수)
대표 조사 지점
관리기관
1
2012
한강(3)
강천보,여주보,이포보
한강청
2
2012
낙동강(8)
상주보,낙단보,구미보,칠곡보,강정고령보,달성보
대구청
합천창녕보,창녕함안보
낙동강청
3
2012
금강(3)
세종보,공주보,백제보
금강청
4
2012
영산강(2)
승촌보,죽산보
영산강청
닫기
구분
기간형태
자료 기간 선택
일 자료
월 자료
년 자료
시작일시
시작 년도 선택
시작 월 선택
종료일시
종료 년도 선택
종료 월 선택
지점
지점선택
지점선택
구분
행정구역으로 찾기
수계로 찾기
이름으로 찾기
행정구역
시도 선택
시군구 선택
수계구분
대권역 선택
중권역 선택
이름
검색
텍스트 기반 검색
지도 기반 검색
과거 수질자료 : 지점명, 지점코드, 운영여부, 운영시작년도, 대권역, 중권역, 조사기관, 주소 순으로 나열된 정보
지점명
지점코드
운영여부
운영시작년도
대권역
중권역
조사기관
주소
선택지점
확인
닫기
검색
조회현황 :
0
건
목록수
10개
20개
30개
지리정보 통합 검색
CSV
EX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