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현황

HISTORY
2024.현재
물환경측정망 설치·운영계획(환경부고시 제2023-292호, 2023.12.29.)
물환경측정망 종류 및 조사지점
1) 수질측정망 : 1,953개소
- 하천 691개소, 호소 201개소, 농업용수 955개소, 도시관류 37개소, 산단하천 69개소)
2) 총량측정망 : 373개소(일반병행 107개소)
3) 수질자동측정망 : 76개소
4) 퇴적물측정망 : 327개소(하천 180개소, 호소 147개소)
5) 방사성물질측정망 : 90개소(하천 77개소, 호소 13개소)
6) 생물측정망 : 3,856개소(하천 3,035개소, 하구 668개소, 호소 180개소)
7) 비점오염물질측정망 : 36개소(중권역규모 6개소, 소권역규모 20개소)
2023
물환경측정망 설치·운영계획(환경부고시 제2022-287호, 2023.01.02.)
물환경측정망 종류 및 조사지점
1) 수질측정망 : 1,953개소
- 하천 691개소, 호소 201개소, 농업용수 955개소, 도시관류 37개소, 산단하천 69개소)
2) 총량측정망 : 373개소(일반병행 107개소)
3) 수질자동측정망 : 74개소
4) 퇴적물측정망 : 327개소(하천 180개소, 호소 147개소)
5) 방사성물질측정망 : 90개소(하천 77개소, 호소 13개소)
6) 생물측정망 : 3,856개소(하천 3,016개소, 하구 660개소, 호소 180개소)
7) 비점오염물질측정망 : 38개소(중권역규모 6개소, 소권역규모 32개소)
2022
물환경측정망 설치·운영계획(환경부고시 제2021-297호, 2021.12.31.)
물환경측정망 종류 및 조사지점
1) 수질측정망 : 1,952개소
- 하천 691개소, 호소 200개소, 농업용수 955개소, 도시관류 37개소, 산단하천 69개소)
2) 총량측정망 : 373개소(일반병행 107개소)
3) 수질자동측정망 : 72개소
4) 퇴적물측정망 : 326개소(하천 179개소, 호소 147개소)
5) 방사성물질측정망 : 90개소(하천 77개소, 호소 13개소)
6) 생물측정망 : 3,883개소(하천 3,035개소, 하구 668개소, 호소 180개소)
7) 비점오염물질측정망 : 36개소(중권역규모 6개소, 소권역규모 20개소)
2021
물환경측정망 설치·운영계획(환경부고시 제2021-1호, 2021.1.5.)
물환경측정망 종류 및 조사지점
1) 수질측정망 : 1,949개소
- 하천 688개소, 호소 200개소, 농업용수 955개소, 도시관류 37개소, 산단하천 69개소)
2) 총량측정망 : 337개소(일반병행 106개소)
3) 수질자동측정망 : 70개소
4) 퇴적물측정망 : 326개소(하천 179개소, 호소 147개소)
5) 방사성물질측정망 : 90개소(하천 77개소, 호소 13개소)
6) 생물측정망 : 3,856개소(하천 3,016개소, 하구 660개소, 호소 180개소)
7) 비점오염물질측정망 : 38개소(중권역규모 6개소, 소권역규모 32개소)
2018
비점오염물질측정망 신설
- 소권역규모 2개소
물환경측정망에 비점오염물질측정망 통합
2016
생물측정망 신설
하천 3,039개 지점, 호소 178개소, 하구 336개소
물환경측정망에 방사성물질측정망 및 생물측정망 통합
『수질측정망』 명칭 변경
- 기존의 수질분야(수질, 총량, 자동, 퇴적물) 측정망에 수생태계 및 방사성물질 조사를 신설?통합함에 따라 『물환경측정망』으로 명칭 변경
2014
방사성물질측정망 신설 및 운영계획 환경부 고시 제정
- 하천 54개 지점, 호소 6개 지점
2012
수질측정망에 퇴적물측정망 통합
2011
하천?호소 등 퇴적물측정망 신설 운영계획 환경부 고시 제정
- 16개 보 구간 48개 지점
수질측정망에 총량측정망 및 수질자동측정망 통합
2008
상수원수 조사 지점(509개) 수질측정망에서 폐쇄
- 상수원관리규칙에 의거 별도 관리
수질자동측정망 운영계획 환경부 예규 제정
- 49개소(한강 14개소, 낙동강 17개소, 금강 11개소, 영산강 7개소)
2007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 사업 실시
- ‘07 : 540개 지점(구간) → ’15 : 960개 지점(구간)
2004
한강 수질/유량 총량측정망 신설
- ‘04 : 35개 지점 → ’07 : 임진강 확대 → ‘12 : 진위천 확대
2003
3대강 수질/유량 총량측정망 신설
- 96개 지점(낙동강 41개, 금강 32개, 영산강 23개)
1998
수질오염총량관리제 도입
1995
수질측정망 운영계획 환경부 고시 제정
- 1,379개 조사 지점(하천수 519개, 호소수 141개, 상수원수 497개, 농업용수 100개, 공단배수 70개, 도시관류 52개)
수질자동측정망 신설
- ‘95 : 2개소 → ’07 : 45개소
1993
수질측정망 온라인 전산망 구축
1992
수질측정망 조사지점 이수목적에 따라 분류
- 하천수 / 호소수 / 상수원수 / 농업용수 / 공단배수 / 도시관류
1990
호소수 및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신설
1983.7
환경청(현 환경부) 측정요원 134명을 환경측정관리사무소로 흡수하며 수질측정 업무를 시?도에서 환경청으로 이관
환경청(현 환경부) 수질측정 업무 일원화 및 수질측정망 구축
- 환경청(250개 지점) : 중심조사지점 관리(전국적 오염실태 파악)
- 시?도(138개 지점) : 지방조사지점 관리(지역적 오염실태 파악)
- ‘84 : 388개 조사 지점(하천본류 97개, 지천 206개, 상수원수 53개, 주요 공단지역 32개)
1980
환경청(현 환경부)* 발족
- 환경청과 시·도 보건연구소에서 각각 이원적으로 수질측정 수행
- ‘81 : 167개, ’82 : 205개, ‘83 : 208개
* 보건사회부 환경위생과 공해계(’67) → 환경청(‘80) → 환경처(’90) → 환경부(‘94)
환경측정관리사무소(현 유역?지방환경청) 6개소 신설
1974
시·도 보건연구소 수질측정 업무 실시 (‘74~’77: 62개, ‘78~’80 : 94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