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바로가기
하단 주소영역 바로가기
운영현황
운영현황
물환경측정망
운영목적 및 구성
세부구성현황
연혁
수질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총량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자동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실시간 수질정보
대국민 공개과정
자료선별과정
실시간 수질지수
퇴적물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방사성물질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생물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비점오염물질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관리 및 제도
관리 및 제도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생활환경기준
중권역별 목표기준 및 달성시간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목표기준 평가
수질오염총량 관리제도
소개
추진현황
발전방안
녹조(조류) 정보
녹조현상
FAQ
자료실
비점오염원
비점오염원 소개
관리방안
설치신고 제도
비점오염뉴스
자료조회
자료조회
수질측정망
자료조회
총량측정망
자료조회
자동측정망
미확정 자료 조회
확정 자료 조회
퇴적물측정망
자료조회
방사성물질측정망
자료조회
생물측정망
자료조회
비점오염물질측정망
수리.수문.기상
녹조(조류)정보
발생현황지도
최근측정자료
과거수질자료
조류예측정보
보 모니터링 정보
보모니터링 종합정보
공개자료목록
보 운영 현황
환경기초조사사업
지리정보 자료조회
지리정보 자료조회
지도기반 간편조회
수질측정망
생물측정망
자동측정망
지도기반 상세조회
서비스 이용안내
서비스 바로가기
물환경 대시보드
드론 촬영 영상
수질오염총량관리지도
소식/자료
소식/자료
공지사항
뉴스
자료실
자주하는 질문
녹조(조류)제보
용어사전
활용툴(Tool) 공개
수치모델
KRF(Korean Reach File)
소하천 KRF(Korean Reach File)
운영현황
물환경측정망
운영목적 및 구성
세부구성현황
연혁
수질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총량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자동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실시간 수질정보
대국민 공개과정
자료선별과정
실시간 수질지수
퇴적물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방사성물질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생물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비점오염물질측정망
설치목적 및 배경
운영 현황
기관별 수행업무
운영 방법
대국민 공개과정
연혁
확대
홈
운영현황
물환경측정망
연혁
2025.현재
물환경측정망 설치·운영계획(환경부고시 제2024-816호, 2025.01.06.)
물환경측정망 종류 및 조사지점
1) 수질측정망 : 1,953개소
- 하천 691개소, 호소 201개소, 농업용수 955개소, 도시관류 37개소, 산단하천 69개소)
2) 총량측정망 : 291개소(일반병행 105개소)
3) 수질자동측정망 : 77개소
4) 퇴적물측정망 : 327개소(하천 180개소, 호소 147개소)
5) 방사성물질측정망 : 90개소(하천 77개소, 호소 13개소)
6) 생물측정망 : 3,854개소(하천 3,011개소, 하구 663개소, 호소 180개소)
7) 비점오염물질측정망 : 39개소(중권역규모 6개소, 소권역규모 33개소)
2024
물환경측정망 설치·운영계획(환경부고시 제2023-292호, 2023.12.29.)
물환경측정망 종류 및 조사지점
1) 수질측정망 : 1,953개소
- 하천 691개소, 호소 201개소, 농업용수 955개소, 도시관류 37개소, 산단하천 69개소)
2) 총량측정망 : 373개소(일반병행 107개소)
3) 수질자동측정망 : 76개소
4) 퇴적물측정망 : 327개소(하천 180개소, 호소 147개소)
5) 방사성물질측정망 : 90개소(하천 77개소, 호소 13개소)
6) 생물측정망 : 3,856개소(하천 3,016개소, 하구 660개소, 호소 180개소)
7) 비점오염물질측정망 : 36개소(중권역규모 6개소, 소권역규모 20개소)
2023
물환경측정망 설치·운영계획(환경부고시 제2022-287호, 2023.01.02.)
물환경측정망 종류 및 조사지점
1) 수질측정망 : 1,953개소
- 하천 691개소, 호소 201개소, 농업용수 955개소, 도시관류 37개소, 산단하천 69개소)
2) 총량측정망 : 373개소(일반병행 107개소)
3) 수질자동측정망 : 74개소
4) 퇴적물측정망 : 327개소(하천 180개소, 호소 147개소)
5) 방사성물질측정망 : 90개소(하천 77개소, 호소 13개소)
6) 생물측정망 : 3,856개소(하천 3,016개소, 하구 660개소, 호소 180개소)
7) 비점오염물질측정망 : 38개소(중권역규모 6개소, 소권역규모 32개소)
2022
물환경측정망 설치·운영계획(환경부고시 제2021-297호, 2021.12.31.)
물환경측정망 종류 및 조사지점
1) 수질측정망 : 1,952개소
- 하천 691개소, 호소 200개소, 농업용수 955개소, 도시관류 37개소, 산단하천 69개소)
2) 총량측정망 : 373개소(일반병행 107개소)
3) 수질자동측정망 : 72개소
4) 퇴적물측정망 : 326개소(하천 179개소, 호소 147개소)
5) 방사성물질측정망 : 90개소(하천 77개소, 호소 13개소)
6) 생물측정망 : 3,883개소(하천 3,035개소, 하구 668개소, 호소 180개소)
7) 비점오염물질측정망 : 36개소(중권역규모 6개소, 소권역규모 20개소)
2021
물환경측정망 설치·운영계획(환경부고시 제2021-1호, 2021.1.5.)
물환경측정망 종류 및 조사지점
1) 수질측정망 : 1,949개소
- 하천 688개소, 호소 200개소, 농업용수 955개소, 도시관류 37개소, 산단하천 69개소)
2) 총량측정망 : 337개소(일반병행 106개소)
3) 수질자동측정망 : 70개소
4) 퇴적물측정망 : 326개소(하천 179개소, 호소 147개소)
5) 방사성물질측정망 : 90개소(하천 77개소, 호소 13개소)
6) 생물측정망 : 3,856개소(하천 3,016개소, 하구 660개소, 호소 180개소)
7) 비점오염물질측정망 : 38개소(중권역규모 6개소, 소권역규모 32개소)
2018
비점오염물질측정망 신설
- 소권역규모 2개소
물환경측정망에 비점오염물질측정망 통합
2016
생물측정망 신설
하천 3,039개 지점, 호소 178개소, 하구 336개소
물환경측정망에 방사성물질측정망 및 생물측정망 통합
『수질측정망』 명칭 변경
- 기존의 수질분야(수질, 총량, 자동, 퇴적물) 측정망에 수생태계 및 방사성물질 조사를 신설·통합함에 따라 『물환경측정망』으로 명칭 변경
2014
방사성물질측정망 신설 및 운영계획 환경부 고시 제정
- 하천 54개 지점, 호소 6개 지점
2012
수질측정망에 퇴적물측정망 통합
2011
하천·호소 등 퇴적물측정망 신설 운영계획 환경부 고시 제정
- 16개 보 구간 48개 지점
수질측정망에 총량측정망 및 수질자동측정망 통합
2008
상수원수 조사 지점(509개) 수질측정망에서 폐쇄
- 상수원관리규칙에 의거 별도 관리
수질자동측정망 운영계획 환경부 예규 제정
- 49개소(한강 14개소, 낙동강 17개소, 금강 11개소, 영산강 7개소)
2007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 사업 실시
- ‘07 : 540개 지점(구간) → ’15 : 960개 지점(구간)
2004
한강 수질/유량 총량측정망 신설
- ‘04 : 35개 지점 → ’07 : 임진강 확대 → ‘12 : 진위천 확대
2003
3대강 수질/유량 총량측정망 신설
- 96개 지점(낙동강 41개, 금강 32개, 영산강 23개)
1998
수질오염총량관리제 도입
1995
수질측정망 운영계획 환경부 고시 제정
- 1,379개 조사 지점(하천수 519개, 호소수 141개, 상수원수 497개, 농업용수 100개, 공단배수 70개, 도시관류 52개)
수질자동측정망 신설
- ‘95 : 2개소 → ’07 : 45개소
1993
수질측정망 온라인 전산망 구축
1992
수질측정망 조사지점 이수목적에 따라 분류
- 하천수 / 호소수 / 상수원수 / 농업용수 / 공단배수 / 도시관류
1990
호소수 및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신설
1983.7
환경청(현 환경부) 측정요원 134명을 환경측정관리사무소로 흡수하며 수질측정 업무를 시·도에서 환경청으로 이관
환경청(현 환경부) 수질측정 업무 일원화 및 수질측정망 구축
- 환경청(250개 지점) : 중심조사지점 관리(전국적 오염실태 파악)
- 시?도(138개 지점) : 지방조사지점 관리(지역적 오염실태 파악)
- ‘84 : 388개 조사 지점(하천본류 97개, 지천 206개, 상수원수 53개, 주요 공단지역 32개)
1980
환경청(현 환경부)
*
발족
- 환경청과 시·도 보건연구소에서 각각 이원적으로 수질측정 수행
- ‘81 : 167개, ’82 : 205개, ‘83 : 208개
*
보건사회부 환경위생과 공해계(’67) → 환경청(‘80) → 환경처(’90) → 환경부(‘94)
환경측정관리사무소(현 유역?지방환경청) 6개소 신설
1974
시·도 보건연구소 수질측정 업무 실시 (‘74~’77: 62개, ‘78~’80 : 94개)
0%
-
WP
X
0% (0Byte / 0Byte)
0 sec (0B/s)
0% (0Byte / 0Byte)
0 sec (0B/s)
Connection Status
Graph
Start
Open
C:/ASDF
Resume Policy
Resume
Resume
Overwrite
Overwrite
Confirm
Confirm
QR Code
0Byte/s
INNOR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