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정보 자료조회

하천의 물길(경로) 정보에서 물환경 종합정보까지
하천 관련 모든 정보를 안내해주는
물환경지리정보시스템
하천 물길과 환경 정보를 내비게이션처럼 지도상에서 손쉽게 확인 할 수 있는 물환경지리정보서비스를 오픈하였습니다.
물환경지리정보 서비스 속도 개선을 위한 설정설정방법 바로가기
물환경지리정보 서비스 바로가기
※ 서비스 이용을 위한 PC 최소사양
운영체계 : Windows7, CPU : Intel Pentium Core2 쿼드 이상, VGA : DirectDraw를 지원하는 VGA, 해상도 : 1360x768 이상, RAM : 2GB 이상, 브라우저 : Explore10 이상

일반모드/리치모드 설명과 조류항공영상 설명 탭

일반모드/리치모드 설명(선택) 조류항공영상 설명
리치모드 화면
일반모드, 리치모드
물환경지리정보는 공간검색서비스(GIS)
일반적인 검색(일반모드) 방식
KRF*를 이용한 검색(리치모드) 방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KRF(Korean Reach File)

우리 주변에 있는 실제 하천을 점 ( 리치모드 화면 1번에 해당되는 이미지 표시 ), 선 ( 리치모드 화면 2번에 해당되는 이미지 표시 ), 면 ( 리치모드 화면 3번에 해당되는 이미지 표시 ) 형태의 공간정보를 만들어 다양한 정보를 연결시킨 하천지도입니다.
단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존 하천도에 분석 기능이 더해져 다양한 하천환경 정보를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KRF 상세 내용 보기 및 KRF v3.0 다운로드

리치모드

물환경정보시스템만의 자랑인 리치모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하천의 물길 찾기를 나태낸 이미지
하천의 물길 찾기
내비게이션처럼 시작점( 리치 시작 아이콘 )과 끝점( 리치 끝 아이콘 )을 선택하면, 선택 구간의 하천이 이동하는 물길과 물줄기가 자동으로 선택됩니다.
- 리치길이하천 구간을 임의 기준에 따라 분할한 점과 점 사이의 길이
하천 물길에 따른 영향구역 정보를 표시한 이미지
하천 물길에 따른 영향구역 정보
선택된 물줄기에 영향을 주는 집수구역*이 자동 활성화 됩니다.
* 집수구역 일정한 강, 호수 등을 기준으로 그곳으로 물이 모여드는 구역. 즉, 물그릇 역할을 수행하는 구역으로, 집수구역 정보 조회를 통하여 하천주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원 및 하천 시설물들이 어느 하천구간으로 유입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물환경 종합 정보 제공을 나타낸 이미지
원스탑! 물환경 종합 정보 제공
각 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하천(물줄기) 영향구역 에서의 수질정보, 오염원 정보, 하천 수위/유량/댐 관측 정보 등 하천 관련 종합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제공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추가될 예정입니다.

추가 기능

데이터셋 설정을 나타낸 이미지
하천의 물길 찾기를 나태낸 이미지
상류 영향구역 자동조회
옵션에서 상류 검색을 설정합니다.
시작점( 리치 시작 아이콘)만 선택하면, 해당 선택지점에 영향을 주는 하천 상류부분을 자동으로 검색해줍니다.

조류항공영상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공개하는 조류항공영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류항공영상 매뉴얼 바로가기
조류항공영상을 제작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기존 국가 수질측정망의 지점(點)단위 직접 분석방식은 전반적인 조류 발생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한 반면, 원격 모니터링 기법은 항공기에서 촬영하는 영상 정보를 통해서 하천 전체 구간에 대한 조류의 분포 상황을 한눈에 알 수 있게 됩니다.

초분광 원격 모니터링 기술을 이용하면 낙동강 수계를 비롯한 광역 수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 하는 녹조 분포 현황 및 정량을 육안으로도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분광 :
우리 눈보다 더 세밀하게 빛의 특징을 감지할 수 있는 기법으로 물체의 반사특성을 그대로 감지할 수 있어 주로 광물탐사, 해양, 위조지폐 감별 등에 활용

항공영상 촬영과 현장 업무는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비가 오지 않고 최대한 구름이 없는 날을 기준으로 연간 약 20회 항공촬영이 이루어집니다.

항공촬영과 동시에 현장에서는 선박을 이용하여 해당 하천의 수표면 분광정보 및 수질분석을 위한 시료를 채취합니다.

촬영된 영상은 국립환경과학원이 개발한 원격모니터링 기법(15’~16’)을 통해 클로로필-a피코시아닌 농도 지도로 제작되어 제공되고 있습니다.

4대강별 항공촬영 정보 - 수계, 촬영일자, 촬영구간, 제공 영상 순으로 구성된 표 입니다.
수계 촬영일자 촬영 구간(km) 제공영상 *
낙동강 낙동강 2015 7/4, 8/14, 9/8, 10/6 함안보~구미보
(160)
항공사진,
드론사진,
위성사진,
클로로필a,
피코시아닌
2016 6/2, 6/17, 8/11, 8/25, 9/8, 9/23
2017 6/5, 8/12, 9/13, 9/14, 9/18, 9/19, 9/25, 10/21, 11/09, 11/21, 11/27
2018 6/22, 7/17, 7/18, 8/2, 9/18, 10/4, 10/11, 10/25, 11/26
2019 6/21, 6/25, 7/6, 8/2, ,8/30, 10/9
2020 08/19, 09/04, 09/19, 10/05, 10/25, 10/29
2021 07/23, 08/06, 09/11, 09/12, 10/01, 10/02, 10/03, 10/18, 10/22, 10/28
2022 06/18, 07/02, 07/16, 07/29, 08/07, 08/12, 08/21, 08/22, 09/08, 09/30, 10/19
2023 06/17, 06/23, 07/28, 07/30, 08/05, 08/27, 09/09, 10/05, 10/11, 10/17, 10/18, 10/25
2024 06/12, 07/31, 08/09, 08/13, 08/24, 09/05, 09/10, 09/30, 10/10, 10/12, 10/30
안동댐 2023 8/27
금강 금강 2015 8/18, 9/9, 9/21 백제보~대청호
(120)
2016 8/5, 8/12, 8/24, 9/20, 10/6, 10/14
2017 9/1, 9/15, 9/22, 10/25, 10/28, 11/11
2018 7/20, 8/1, 9/5, 9/17, 10/12, 10/17, 10/24
2019 08/03, 08/20, 08/26, 09/17, 09/18, 09/24, 09/29, 09/30, 10/11, 10/19, 10/21, 10/27
2020 08/20, 09/20, 09/25, 09/27, 10/06, 10/10, 10/11, 10/13, 10/15, 10/18, 10/20, 10/24, 10/26, 10/29
2021 07/27, 08/04, 08/15, 09/04, 09/12, 09/13, 09/15, 09/20, 10/03, 10/24, 10/27
2022 06/21, 07/26, 08/27, 08/28, 09/07, 09/09, 09/20, 09/24,09/29, 09/30, 10/08, 10/12, 10/13, 10/18, 10/25
2023 06/16, 07/21, 08/05, 08/15, 08/20, 08/25, 09/01, 09/02, 09/07, 09/09, 09/22, 09/24, 10/01, 10/10, 10/11, 10/21, 10/29
2024 06/13, 06/27, 08/14, 08/29, 08/30, 09/04, 09/27, 09/28, 10/02, 10/08, 10/12, 10/24, 11/02
용담댐 2023 08/15, 08/20, 08/25, 09/09
한강 북한강 2015 7/3, 7/10, 8/11, 8/17, 8/24, 09,01, 9/17 의암호~두물
(90)
2016 6/10, 10/11, 10/19
2023 08/15, 08/25, 09/09
한강
하류
2015 9/4, 9/15, 9/22, 10/7 김포대교~잠실대교
(57)
2016 8/19
영산강 2016 9/13, 9/21 승촌보~죽산보
(76)
2017 7/27, 8/4, 9/2, 9/3, 9/21
2018 4/29, 10/3, 10/19, 11/2, 11/20
2019 10/20
2020 09/20, 09/26, 10/17, 10/31
2021 11/25
2022 06/11, 09/09, 09/24, 09/29, 10/19, 10/31
2023 06/16, 08/05, 08/20, 09/09
2024 08/29
*제공영상 : 피코시아닌 농도 추정 모형 개발에 따른 순차적 공개 (확대 적용 예정)
2014년 ~ 2015년 : Chl-a 추정 모형 개발
2015년 ~ 2016년 : Chl-a 추정 모형 개선 & PC 추정 모형 개발 (낙동강 대상)
2017년 : 낙동강 PC 모형 정확도 제고
2018년 : 금강, 영산강 PC 모형 개발
하천망분석도 구석을 나타낸 이미지
<항공 촬영 구간 (한강, 북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항공영상 촬영 및 분광 분석에는 어떤 장비가 사용되었나요?

항공기고해상도 카메라와 초분광센서를 장착하여 해당 하천 구간 영상 자료를 얻고, 대상 하천 현장에서는 분광복사계를 이용하여 수표면에서 일어나는 분광 정보를 획득합니다.

촬영장비 정보- 촬영기법, 장비 이미지, 장비정보를 나타낸 표 입니다.
항공초분광센서 항공초분광센서 이미지 장비명 : AISA Eagle
분광범위 : 400 ~ 970nm
장착등 장비의 유지보수용이
항공기 항공기 이미지 장비명 : CESSNA 208 CARAVAN
운행시간 : 6H 30M
최대탑승인원 : 14인
고해상도 항공
디지털 카메라
고해상도 항공 디지털 카메라 이미지 장비명 : DMC
과업지역 녹조 발생 시 가시적인 분석 활용
AISA Eagle GSD 2m 촬영시 DMC
GSD 30cm 급 영상 동시 취득
지상분광자료
취득센서
지상분광자료 Field spec 4 장비 이미지 장비명 : Field spec 4
분광범위 : 350 ~ 2,500nm
지상분광자료 취득 목적
지상분광자료 Fieldspec Handheld2 이미지 장비명 : Fieldspec Handheld2
분광범위 : 325 ~ 1,075nm
조류항공영상은 어떻게 제작되었나요?

초분광센서는 일반 카메라와 달리 가시광선 영역(400~700nm)근적외선 영역(700~1,000nm) 파장대를 수백개의 구역(밴드)로 세분하여 관측함으로써 조류(藻類)가 빛에 반응하여 내놓은 특징적인 복사파장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촬영된 조류의 초분광영상 정보와 동일 시간대에 현장에서 측정한 실제 조류의 양을 비교하여 관계모형을 개발하고, 매주 촬영되는 초분광영상 정보를 조류 농도로 전환하는 원리로 조류 농도영상이 생산됩니다.

  • 초분광 영상 촬영
    초분광 영상 촬영
  • 분광실험 및 추정기법 적용
    분광실험 및 추정기법 적용
  • 조류 농도 지도 제작
    조류 농도 지도 제작
시스템에서 공개되는 영상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나요?

영상은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된 영상, 그리고 초분광영상 및 분석 기법 적용을 통해 얻어진 클로로필 -a* 농도 영상 및 피코시아닌** 농도 영상이 있습니다.

* 클로로필-a
세균을 제외한 모든 광합성 생물에 존재하며, 클로로필-a는 특히 수계 환경 내의 식물 플랑크톤에서 가장 많이 존재.
총 인 등 화학적 성분들과 더불어 수체 내 부영양화에 대한 지표가 됨
** 피코시아닌
남조류에 함유된 남색 대표 색소로 빛에너지를 클로로필-a에 전달하여 광합성을 진행 시키는 역할.
피코시아닌과 함께 알로피코시아닌 및 피코에리트린을 포함하여 피코빌리단백질(phycobiliprotein)이라고 함
  • 항공영상
    항공영상
  • 클로로필-a 영상
    클로로필-a 영상
  • 피코시아닌 영상
    피코시아닌 영상

농도 영상으로부터 만곡부, 보 구간 과 같은 정체수역 및 오염지천 유입부 등 녹조가 대량 발생하는 구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보 구간
    보 구간
  • 만곡부
    만곡부
  • 지천 유입부(1)
    지천 유입부(1)
  • 지천 유입부(2)
    지천 유입부(2)
  • 구름
    구름
  • 난반사
    난반사

※ 일부 구간에서는 난반사나 구름으로 인해 영상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 존재합니다.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유해남조류 세포수를 파악할 수 있나요?

2016년 낙동강 수계에서 샘플링한 자료로부터 피코시아닌 농도와 남조류 총 세포수의 상관관계는 결정계수 0.88., RMSE 14,648 cells/mL로서 강한 선형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분광 영상을 통해 얻어진 피코시아닌 농도 영상을 이용하여 아래 그래프의 선형회귀식에 적용하면 남조류 총 세포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단, 유해한 남조류에 대한 구분 여부는 남조류 속별 분리 분광실험 등을 통해 지속적인 연구 중에 있습니다.

* 환경부는 국내 서식하는 남조류 중 독성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4속(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베나, 아파니조메논, 오실라토리아)을 유해남조류로 지정하여 관리중임

2016년 낙동강 수계에서 채수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 피코시아닌 색소와 남조류 총 세포수 사이에는 결정계수 0.88의 강한 선형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낙동강 피코시아닌 농도와 남조류 총 세포수간의 상관관계('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