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물환경 - 물환경뉴스 (상세) :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 순으로 내열된 내용입니다.
[보도자료] 2009년도 전국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6.1% 수질기준 초과
작성일 2010-09-17 조회수 3438
첨부파일 다운로드 100917A3_지하수_수질측정망_운영결과.hwp

2009년도 전국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6.1% 수질기준 초과

 

◇ 조사지점 4,847개 중 296개(6.1%)지점이 수질기준을 초과하였고, 전년도(6.9%)

대비 0.8%p 감소


- 최근 5년간 평균 수질기준 초과율 5.9%p와 비슷

초과의 주요인은 일반세균, 질산성질소 등이며, 전용측정망 설치 확대로 모니터

링을 과학화하고, 지하수 수질관리 선진화 대책을 추진할 계획




□ 전국 지하수 오염현황과 수질변화 추세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09년 상·하반기에 걸쳐

지하수 수질조사를 실시한 결과,

o ‘09년에는 ‘08년 초과율(6.9%)보다 0.8%p 감소하였다. 이는 전년도에 비하여 일반세균, 질산

성질소
초과지점이 감소(’08년 대비 56개, 전체시료중 1.1%)한 것에 기인하고 있다.

o 총 4,847개소 중 수질기준을 초과한 296개(6.1%)의 측정망 유형은 오염우려지역 154개소

(1,461개소 중 10.5%), 일반지역 86개소(2,430개소 중 3.5%), 국가관측망 56개소(956개소 중

5.9%)로 나타났다.

※ 지하수 수질측정망의 유형

: 오염우려지역측정망(지방환경청), 일반지역측정망(시·도), 국가관측망(국토부)




용도별 초과율은 공업용 7.3%, 생활용 6.0%, 농·어업용 4.4%이며, 음용과 비음용으로 구분하

면 각각 6.9%와 5.8%로 나타났다.

o 기준 초과의 대부분은 일반오염물질(77%)로 인하며, 음용지하수에서 주로 대장균군·일반세

등이 초과되어 음용중지·수질개선 등의 조치를 취하였다.



 

구분 전체 생활 공업 농·어업
조사시료 초과시료 초과율(%) 조사시료 초과시료 초과율(%) 조사시료 초과시료 초과율(%) 조사시료 초과시료 초과율(%)
4,847 296 6.1% 4,052 24 6.0% 546 40 7.3% 249 11 4.4%
음용 1,512 104 6.9% 1,474 99 6.7% 24 3 12.5% 14 2 14.3%
비음용 3,335 192 5.8% 2,578 146 5.7% 522 37 7.1% 235 9 3.8%




측정망 유형별로 초과현황은 다음과 같다.

o 오염우려지역의 경우,

- 공단지역도시주거지역에서 TCE, PCE 등의 초과많아 타 지역에 비해 유기용제의

오염이 높은 곳으로 나타났고,

- 농업용수사용지역, 금속광산지역에서 대장균군, 질산성질소의 초과율이 높았다.

o 일반지역의 경우,

- 대부분 일반세균, 대장균군, 질산성질소일반오염물질이 초과되고 있으며,

- 시·도별로 초과율은 울산의 경우 20.4%로 가장 높고, 충남 8.1%, 경기 7.8%, 경북 4.7% 순으로

높았다.

- 또한, 초과율이 높은 시·도일반세균대장균군초과 지점이 많은 것에 기인하고

있으며, 대전, 제주는 수질 기준을 초과한 지점이 없었다.

o 국가관측망의 경우

- 국토해양부에서 지하수 수위수량조사 등을 위해 수계 유역별 대표지점에 설치·운영중

으로 생활용수 수질기준을 적용할 때 초과율5.9%(956개소 중 56개소)로 나타났다.




□ 한편, 주요 초과 오염물질인 미생물(41.8%)과 TCE·PCE(35.0%)는 주로 오수, 축산폐수 및

섬유·금속 세정제 등이 주오염원으로,

o 관정의 위생관리 부실이나 지표의 오염물질 및 오염된 천층 지하수가 유입된 것에 따른 것으

로 판단되며,

o 반복적인 초과지점에 대해서는 정밀조사, 관정의 시설 개선 및 위생관리 등을 통하여 수질

개선되도록 할 계획이다.




□ 앞으로 환경부는 전용측정망 설치 확대를 통한 모니터링과학화, 지역단위 지하수 수

질관리체계 구축, 지하수 오염예방 및 정화·복원기술 개발 등의 녹색산업육성
지하

수 수질관리 선진화 대책
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 참고 자료 >

1.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개요

2. 지하수 수질기준 및 오염물질 특성

3. 2009년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