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환경기준

※환경기준(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 (별표 - 환경기준 제2조 관련))

하천의 생활환경기준

등급별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

매우 좋음 : 용존산소(溶存酸素)가 풍부하고 오염물질이 없는 청정상태의 생태계로 여과·살균 등 간단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좋음 :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계로 여과·침전·살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약간 좋음 : 약간의 오염물질은 있으나 용존산소가 많은 상태의 다소 좋은 생태계로 여과·침전·살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 또는 수영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보통: 보통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일반 생태계로 여과, 침전, 활성탄 투입, 살균 등 고도의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이용하거나 일반적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약간 나쁨 : 상당량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생태계로 농업용수로 사용하거나 여과, 침전, 활성탄 투입, 살균 등 고도의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나쁨 : 다량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생태계로 산책 등 국민의 일상생활에 불쾌감을 주지 않으며, 활성탄 투입, 역삼투압 공법 등 특수한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매우 나쁨 : 용존산소가 거의 없는 오염된 물로 물고기가 살기 어려움. 용수는 해당 등급보다 낮은 등급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

용수는 해당 등급보다 낮은 등급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

수소이온농도(pH) 등 각 기준항목에 대한 오염도 현황, 용수처리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에 맞는 처리방법에 따라 용수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해당 등급보다 높은 등급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음.

물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
물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
생물등급 생물지표종 서식지 및 생물 특성
저서생물 어류
매우 좋음~좋음 옆새우, 가재, 뿔하루살이, 민하루살이, 강도래, 물날도래, 광택날도래, 띠무늬우묵날도래, 바수염날도래 산천어, 금강모치, 열목어, 버들치 등 서식 물이 매우 맑으며, 유속은 빠른 편임, 바닥이 주로 바위와 자갈로 구성,부착조류가 매우 적음
좋음~보통 다슬기, 넓적거머리, 강하루살이, 동양하루살이, 등줄하루살이, 등딱지하루살이, 물삿갓벌레, 큰줄날도래 쉬리, 갈겨니, 은어, 쏘가리 등 서식 물이 맑으며, 유속은 약간 빠르거나 보통임, 바닥이 주로 자갈과 모래로 구성, 부착조류가 약간 있음
보통~
약간나쁨
물달팽이, 턱거머리,
물벌레, 밀잠자리
피라미, 끄리,
모래무지, 참붕어 등 서식
물이 약간 혼탁하며, 유속은 약간 느린 편임, 바닥은 주로 잔자갈과 모래로 구성, 부착조류가 녹색을 띠며 많음
약간나쁨~ 매우나쁨 왼돌이물달팽이, 실지렁이, 붉은깔다구, 나방파리, 꽃등에 붕어, 잉어, 미꾸라지, 메기 등 서식 물이 매우 혼탁하며, 유속은 느린 편임, 바닥은 주로 모래와 실트로 구성되며, 대체로 검은색을 띰, 부착조류가 갈색 혹은 회색을 띠며 매우 많음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기준은 2015년 12월 31일까지 적용한다.

물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

총인, 총질소의 경우 총인에 대한 총질소의 농도비율이 7 미만일 경우에는 총인의 기준을 적용하지 않으며, 그 비율이 16 이상일 경우에는 총질소의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등급별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는 하천의 생활환경기준과 같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기준은 2015년 12월 31일까지 적용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