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역, 도로, 농경지와 같이 광범위한 지역에서 빗물과 함께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시범적으로 설치·운영함으로써 수질을 개선함과 동시에,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설계기준 및 유지관리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습니다.
구분 | 계 | 비점오염저감시설 시설현황 | ||
---|---|---|---|---|
자연형 시설 | 장치형 시설 | |||
총계 | 47 | 27 | 20 | |
한강 수계 |
4대강 시범사업 |
25 | 식생수로(2), 식생여과대(2) 인공습지(2), 침투도랑(3) 침투저류지(2), 스크린+저류시설(2) |
식생수로(2), 식생여과대(2) 인공습지(2), 침투도랑(3) 침투저류지(2), 스크린+저류시설(2) |
도시기반 시범사업 |
1 | 인공습지(1) | - | |
LID 시범사업 |
2 | LID(2) | - | |
금강 수계 |
4대강 시범사업 |
7 | 인공습지(5) | 여과형 시설(1), 와류형 시설(1) |
영산강 수계 |
4대강 시범사업 |
5 | 인공습지(1), 침투형 주차장(1) |
여과형 시설(3) |
생태둠벙 시범사업 |
2 | 생태둠벙(2) | - | |
낙동강 수계 |
4대강 시범사업 |
5 | 인공습지(1), 식생수로(1) |
와류형 시설(1), 와류+여과형 시설(1) 응집·침전 처리형 시설(1) |
식생수로
용인 포곡면 삼계리 식생수로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침투도랑으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 입니다.
토양의 여과·흡착 및 식물의 흡착작용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3.4%, BOD: 59.4%, COD: 81.3%, T-N: 68.9%, T-P: 67.3%
용인 모현면 왕산리 식생수로
도로,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식생수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토양의 여과·흡착 및 식물의 흡착작용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7.7%, BOD: 49.5%, COD: 57.8%, T-N: 56.5%, T-P: 52.1%
식생여과대
용인 모현면 초부리 식생여과대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 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식생여과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토양의 여과·흡착 및 식물의 흡착작용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75.1%, BOD: 67.9%, COD: 65.9%, T-N: 62.9%, T-P: 65.3%
용인 해곡동 식생여과대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식생여과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된 시설입니다.
토양의 여과·흡착 및 식물의 흡착작용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91.3%, BOD: 63.9%, COD: 63.3%, T-N: 72.5%, T-P: 71.6%
인공습지 (4대강 시범사업)
이천 도지리 인공습지
도로,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복하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복하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3.1%, BOD: 65.3%, COD: 64.6%, T-N: 22.7%, T-P: 67.1%
용인 삼계리 인공습지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63.1%, BOD: 68.0%, COD: 62.1%, T-N: 59.9%, T-P: 68.5%
침투도랑
용인 전대리 1 침투도랑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침투도랑으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도양의 여과·흡착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6.7%, BOD: 86.4%, COD: 87.2%, T-N: 73.8%, T-P: 74.3%
용인 전대리 2 침투도랑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침투도랑으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도양의 여과·흡착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6.7%, BOD: 86.4%, COD: 87.2%, T-N: 73.8%, T-P: 74.3%
이천 IC 침투도랑
도로, 주거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복하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침투도랑으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복하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흡착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79.9%, BOD: 59.3%, COD: 61.1%, T-N: 45.7%, T-P: 55.2%
침투저류지
용인 모현면 초부리 침투저류지
공장, 도로, 주거지역,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침투저류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흡착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49.9%, BOD: 62.8%, COD: 56.0%, T-N: 43.8%, T-P: 54.3%
용인 IC 침투저류지
도로, 산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침투저류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흡착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9.3%, BOD: 87.5%, COD: 88.5%, T-N: 81.8%, T-P: 89.5%
스크린+저류시설
광주 경안동 스크린+저류시설
도로, 주거지역, 임야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스크린+저류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스크린을 통한 전처리 후 저류시설의 침전 작용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4.4%, BOD: 69.8%, COD: 68.8%, T-N: 41.7%, T-P: 62.4%
광주 곤지암 스크린+저류시설
도로, 산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침투저류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흡착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67.1%, BOD: 58.6%, COD: 57.4%, T-N: 42.4%, T-P: 58.1%
인공습지 (도시기반 시범사업)
남양주시 가운동 인공습지
도시,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왕숙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왕숙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61.5%, BOD: 56.0%, COD: 56.8%, T-N: 59.9%, T-P: 61.1%
LID
수원 매탄동 LID 시설
도시,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왕숙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왕숙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61.5%, BOD: 56.0%, COD: 56.8%, T-N: 59.9%, T-P: 61.1%
인천 경서동 LID 시설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굴포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굴포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토양층 및 지하침투과정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 처리효율은 TSS: 91.5%, BOD: 83.7%, COD: 79.2%, T-N: 72.1%, T-P: 90.5%
여과형 시설
용인 모현면 왕산리 장치형(여과형 시설)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비점오염물질을 장치형(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43.3%, BOD: 35.9%, COD: 34.0%, T-N: 33.1%, T-P: 33.7%
광주 오포면 추자리 장치형(여과형 시설)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비점오염물질을 장치형(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47.8%, BOD: 25.1%, COD: 27.5%, T-N: 24.0%, T-P: 24.6%
용인시 포곡면 삼계리 장치형(여과형 시설)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장치형(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77.7%, BOD: 50.2%, COD: 52.9%, T-N: 52.8%, T-P: 73.5%
광주보건소 장치형(여과형 시설)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 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장치형(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3.9%, BOD: 71.4%, COD: 71.2%, T-N: 50.4%, T-P: 54.0%
광주 장지동 장치형(여과형 시설)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장치형(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99.8%, BOD: 99.2%, COD: 99.2%, T-N: 97.2%, T-P: 96.2%
광주 경안동 주차장 장치형(여과형 시설)
도로,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장치형(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90.4%, BOD: 66.1%, COD: 65.4%, T-N: 22.7%, T-P: 67.1%
스크린형 시설
용인시 운학동 장치형(스크린형 설치)
용인시 포곡면 삼계리 장치형(스크린형 설치)
와류형 시설
광주 광남동 장치형(와류형 시설)
도로 및 주거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비점오염물질을 장치형(와류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와류를 형성하여 큰 협잡물을 하부로 침전·분리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14.4%, BOD: 20.8%, COD: 17.7%, T-N: 18.5%, T-P: 21.0%
광주 중부면 상번천리 장치형(와류형 시설)
와류+여과형 시설
용인시 김량장동 장치형(와류+여과형 시설)
도로 및 시가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비점오염물질을 장치형(와류+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와류형 시설을 통한 전처리 후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16.6%, BOD: 27.7%, COD: 24.8%, T-N: 8.1%, T-P: 12.0%
용인시 삼가동 장치형(와류+여과형 시설)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비점오염물질을 장치형(와류+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와류형 시설을 통한 전처리 후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37.8%, BOD: 45.6%, COD: 44.3%, T-N: 38.3%, T-P: 46.5%
인공습지
공주시 우성면 상서리 인공습지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유구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유구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56.4%, BOD: 49.7%, COD: 51.0%, T-N: 41.9%, T-P: 63.3%
공주시 탄천면 남산리 인공습지
농경지 및 축산단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석성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석성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90.7%, BOD: 83.8%, COD: 82.2%, T-N: 73.8%, T-P: 88.2%
논산 연무읍 양지리 인공습지
축산단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강경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강경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4.3%, BOD: 55.8%, COD: 53.0%, T-N: 37.9%, T-P: 67.1%
김제시 장화동 인공습지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원평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원평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57.6%, BOD: 42.9%, COD: 48.0%, T-N: 41.2%, T-P: 56.4%
정읍시 덕천면 도계리 인공습지
축산단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동진강으로 유입 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동진강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77.3%, BOD: 58.6%, COD: 52.9%, T-N: 41.7%, T-P: 59.3%
여과형 시설
서천군 장한농공단지 장치형(여과형 시설)
농공단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판교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장치형(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판교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3.5%, BOD: 44.4%, COD: 59.9%, T-N: 25.6%, T-P: 10.2%
와류형 시설
군산휴게소 장치형(와류형 시설)
휴게소, 도로,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동진강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비점오염물질을 장치형(와류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동진강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와류를 형성하여 큰 협잡물을 하부로 침전·분리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46.9%, BOD: 44.4%, COD: 50.9%, T-N: 43.4%, T-P: 42.9%
인공습지
나주시 다시면 송촌리 인공습지
농업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고막원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고막원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28.7%, BOD: 50.9%, COD: 51.9%, T-N: 53.2%, T-P: 74.7%
나주시 성북동 주민센터 침투주차장
나주시 다시면 송촌리 인공습지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영산강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침투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경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흡착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19.1%, BOD: 51.4%, COD: 59.3%, T-N: 0.0%, T-P: 0.0%
생태둠벙
담양군 금성면 대곡리 생태둠벙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영산강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영산강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62.2%, BOD: 54.4%, COD: 50.1%, T-N: 49.2%, T-P: 44.4%
장성군 황룡면 아곡리 생태둠벙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영산강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영산강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84.6%, BOD: 23.3%, COD: 7.3%, T-N: 13.5%, T-P: 29.2%
여과형 시설
광주 상무지구 1 장치형(여과형 시설)
주거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황룡강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장치형(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황룡강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평균 처리효율은 TSS: 84.5%, BOD: 48.4%, COD: 47.1%, T-N: 41.3%, T-P: 52.8%
광주 상무지구 2 장치형(여과형 시설)
주거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황룡강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장치형(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황룡강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평균 처리효율은 TSS: 84.5%, BOD: 48.4%, COD: 47.1%, T-N: 41.3%, T-P: 52.8%
나주시 동수오량농공단지 장치형(여과형 시설)
공업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만봉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장치형(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만봉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평균 처리효율은 TSS: 84.4%, BOD: 42.0%, COD: 80.1%, T-N: 0.0%, T-P: 71.6%
인공습지
인공습지
농경지 및 축산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신령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신령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27.9%, BOD: 32.6%, COD: 30.0%, T-N: 24.1%, T-P: 33.8%
식생수로
함안군 산서리 식생수로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함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함안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토양의 여과·흡착 및 식물의 흡착작용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16.0%, BOD: 5.7%, COD: 17.9%, T-N: 13.8%, T-P: 6.0%
와류형 시설
달성군 논공읍 스크린형 시설
공업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고령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고령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스크린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평균 처리효율은 BOD: 00%, SS: 00%, T-N: 00%, T-P: 00%
와류+여과형 시설
구미시 원평리 장치형(와류+여과형 시설)
주거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구미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비점오염물질을 장치형(와류+여과형 시설)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구미천의 수질 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와류형 시설을 통한 전처리 후 여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TSS: 45.7%, BOD: 48.3%, COD: 42.1%, T-N: 21.4%, T-P: 43.1%
응집·침전 처리형 시설
달서구 대천동 응집·침전형 시설
공업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고령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아, 인공습지로 유입·처리 후 방류하여 고령천의 수질안정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시설입니다.
응집제를 사용하여 고형물을 응집한 후 침강시설에서 오염물질을 침전·분리시키는 시설로 모니터링 결과 평균처리효율은 TSS: 88.1%, BOD: 70.9%, COD: 76.3%, T-N: 40.6%, T-P: 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