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방법

측정주기 및 횟수 (상시/비상시 등)

하천 : 연2회 (상반기 1회, 하반기 1회)
호소 : 연1회 (상반기 1회)

측정방법

시료의 채취방법, 채취시료의 보존, 현장측정, 시험방법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름
공정시험기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측정결과가 같거나 그 이상의 정확도가 있다고 국내외에서 공인된 방법은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조사기관은 시료채취부터 결과산출까지 일련의 과정을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및「물환경측정망 정도관리지침」에 따라 기록 관리

측정도구 및 현장사진

시료채취

선박, 교량을 통하여 수면에 접근 - 그랩, 스쿱 이용하여 퇴적물 채취 - 5점 이상 채취하여 동일한 부피를 취하여 혼합

분석용 시료 체질 및 건조, 분쇄

일반항목은 스테인레스 체로 체질, 금속류는 나일론 체로 체질 - 풍건(동결건조 가능) - 마노사발(100㎕ 미만 분쇄), 분쇄기(630㎕ 미만 분쇄)

분석용 시료 전처리
완전연소 총질소 총인 금속류

측정지점 선정기준

총량관리 단위 유역의 말단 또는 물질수지 분석을 위해 필요한 지점
수계 특성의 대표성 및 퇴적물 환경질 파악이 용이한 단위유역 말단 등
퇴적물 환경질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원을 파악할 수 있는 지점

오염원이 밀집되어 있거나 정체 수역, 세립퇴적물이 있는 지점

용수이용 측면에서 수질에 대한 퇴적물의 영향 평가가 요구되는 지점
기타 물환경정책 수립에 필요한 지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