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방법

하천
측정주기 및 횟수(하천)
분야 조사항목 횟수 주기
수생생물 부착돌말류, 저서성 대형 무척추 동물, 어류 연 2회 3년
하천환경 수변식생 연 1회 6년
서식 및 수변환경 연 1회 3년

※ 상시지점(중권역 대표지점, 주요 현안지점 등)은 모든 항목을 매년 조사

보구간
측정주기 및 횟수(보구간)
분야 조사항목 횟수 주기
수생생물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월 4회 1년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연 3회
어류 연 2회
육상생물 양서류, 파충류, 포유류 연 3회
하천환경 수변식생 2회
하구
측정주기 및 횟수(하구)
분야 조사항목 횟수 주기
하구생물 부착돌말류,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어류
연 2회 3년
하구환경 식생 연 1회
호소
측정주기 및 횟수(호소)
분야 조사항목 횟수 주기
수생생물 식물플랑크톤, 동물 플라크톤 연 4회 3년(환경부)
5년(지자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연 2회
호소환경 수생식물 및 수변환경
-출현종, 피복면적, 관속식물상,
식생단면도, 대상조사구 외 군집구조,
현존식생도
연 2회
수생식물및 수변환경
- 토지이용도 및 호안구조
연 2회

측정지점 선정기준

하천・하구・호소의 특성을 반영하고 수생태계변화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지점
수계 영향권역별 수생태계 목표기준 달성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지점
수생태계 개선을 위해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 지점
기타 물환경정책 수립에 필요한 지점
로딩중